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다음 판 | 이전 판 | ||
faq:downloadandsetup:ceip:00_ceip_setup [2021/06/07 17:55] kkm 만듦 |
faq:downloadandsetup:ceip:00_ceip_setup [2024/07/08 18:23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- | ======cEIP | + | ======cEIP |
<alert type=" | <alert type=" | ||
- | cEIP를 처음 사용할 때 셋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 페이지입니다. | + | cEIP 셋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 페이지입니다. |
</ | </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Step 1. cEIP 모듈 IP, ID 설정=== | ||
+ | {{: | ||
+ | * cEIP모듈의 주소 설정 로터리는 모듈 상단에 위치 | ||
---- | ---- | ||
- | \\ | + | ==마스터의 IP 설정 == |
- | \\ | + | * 로터리의 MSB는 IP 주소값의 상위 4비트, LSB는 하위 4비트를 의미 |
+ | * 예를 들어 MSB가 1, LSB가 F인 경우 상위비트는 0x1, 하위비트는 0xF로 설정되어 192.168.1.31(0x1F)로 노드 마스터의 IP가 설정됨. | ||
+ | * IP주소는 다른 노드마스터와 PC의 주소값과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해야하고 0x01 ~ 0xFE까지의 주소를 사용해야 함 ((주소값 0, 255은 다른 용도로 사용됨))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|||
+ | ==슬레이브의 IP 설정== | ||
+ | * 슬레이브의 주소는 **노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주소값**으로 0~9까지 할당 가능 | ||
+ | * 슬레이브마다 고유의 ID를 설정해 다른 슬레이브와 ID값이 겹치지 않도록 설정 | ||
+ | |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Step 2. cEIP 펌웨어 동작 확인=== | ||
+ | {{: | ||
+ | |||
+ | * cEIP 전원 연결 및 이더넷 케이블 연결 후 마스터 모듈의 P LED는 항시 ON, A LED는 깜빡이는지 확인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Step 3. PC의 Daemon IP 지정=== | ||
+ | {{: | ||
+ | {{: | ||
+ | * 알림 영역 아이콘 - [네트워크] 우클릭 - [네트워크 및 고유 센터 열기] - cEIP 노드와 연결할 포트의 [로컬 영역 연결] 클릭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|||
+ | * 192.168.1.1 ~ 192.168.1.254중 사용하고자 하는 IP로 설정 변경 및 서브넷 마스크 설정.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|||
+ | * cEIP 패키지의 ceNetConfig.exe 파일 실행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* 네트워크를 변경해보며 설정한 IP 주소를 확인 | ||
+ | * 설정한 IP가 맞는 경우 Save 클릭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|||
+ | </ | ||
<callout type=" | <callout type=" | ||
- | * {{ : | + | ===Step 4. Daemon 실행 및 방화벽 확인 === |
+ | |||
+ | ==데몬 최초 실행==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* cEIP 패키지의 ceSDKDaemon.exe 파일 실행 | ||
+ | * 실행시 화면 우측 상단에 설정한 IP가 표시되는지 확인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|||
+ | ==방화벽 설정 확인== | ||
+ | {{: | ||
+ | * 방화벽 - 허용되는 앱 | ||
+ | * 다음의 어플리케이션을 개인, 공용에서 모두 허용 | ||
+ | - C6711powerflasher.exe(ceMN-IP만, | ||
+ | - Cesdkdaemon.exe | ||
+ | - COMIZOA Ethernet/IP Windows x86 Based Service Coprocess | ||
+ | {{: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|||
+ | * 방화벽 사용중 허용되는 앱 목록에 있는 연결을 포함하여 모든 들어오는 연결 차단 체크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|||
+ | ==데몬 재실행==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* cEIP 패키지의 ceSDKDaemon.exe 파일 실행 | ||
+ | * 실행시 화면 우측 상단에 설정한 IP가 표시되는지 확인 | ||
+ | |||
</ | </ | 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Step 5. 노드 확인=== | ||
+ | ==MADIC으로 노드 확인== | ||
+ | {{: | ||
+ | * MADIC 실행시 자동으로 노드 검색 진행 | ||
+ | * 연결한 슬레이브가 보인다면 셋업 완료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==ComiIDE로 노드 확인== | ||
+ | |||
+ | {{: | ||
+ | * ComiIDE 실행 후 Scan버튼 우클릭 후 cEIP 체크 | ||
+ | {{: | ||
+ | * 노드 스캔시 연결한 슬레이브가 보인다면 셋업 완료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See Also=== | ||
+ | [[faq: | ||
+ | |||
+ | |||
+ | [[faq: | ||
+ | |||
+ | |||
+ | [[faq: | ||
+ | </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