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faq:motion:common:00_motor_not_working [2021/10/22 11:43] kkm |
faq:motion:common:00_motor_not_working [2024/07/08 18:23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5: | 줄 5: | ||
\\ | \\ | ||
- | ====Case 1==== | + | ====Case 1. 커미조아 API에서 모션 컨트롤러까지 이송명령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==== 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증상=== | ||
+ | * 이송 명령을 내렸을 때 Command Position 값이 변하지 않음. | ||
+ | * 이송 명령 수행시 에러코드 반환. | ||
+ | </ | ||
- | <callout type="primary" icon="true" title=" | + | <callout type="info" icon = "fa fa-question-circle-o"> |
- | \\ | + | ===원인=== |
- | * Command Position이 바뀌지 않음 | + | * 커미조아 API 함수가 실제로 호출되지 않음. |
- | | + | |
</ | </ | ||
- | <callout type="info" icon="true" title=" | + | <callout type="success" icon = "fa fa-exclamation-circle"> |
- | \\ | + | ===해결법=== |
- | * Alarm이나 Limit 입력이 ON으로 되어 있음 | + | * API의 에러코드 확인 |
+ | * SW Log 확인 | ||
+ | </ | ||
- | * Software Limit이 설정되어 있음 | + | ----- |
+ | ====Case 2. 모션 컨트롤러까진 명령이 전달되었으나 서보드라이브까지 물리적으로 명령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==== | 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증상=== | ||
+ | * 이송 명령을 내렸을 때 Command Position 값은 정상적으로 변하나 Feedback Position이 변하지 않고 실제로 모터도 돌아가지 않음. | ||
</ | </ | ||
- | <callout type="success" icon="true" | + | <callout type="info" icon = "fa fa-question-circle-o"> |
- | \\ | + | ===원인=== |
- | * Alarm이나 Limit 해제 | + | * 물리적인 이송 명령이 서보까지 전달되지 않음. |
+ | </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success" | ||
+ | ===해결법=== | ||
+ | * 구버전 보드의 경우 외부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는지 확인 | ||
+ | * 각 케이블 및 커넥터가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혹은 케이블 교체 | ||
+ | *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 | ||
+ | * 외부 마찰 또는 내부 합선으로 인한 터미널 퓨즈의 분리 확인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----- | ||
- | * Software Limit 해제 | ||
+ | ====Case 3. 서보 드라이버까진 명령이 전달되었으나 서보드라이브가 명령을 해석하지 못한 경우==== | 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증상=== | ||
+ | * 이송 명령을 내렸을 때 Command Position 값은 정상적으로 변하나 Feedback Position이 변하지 않고 실제로 모터도 돌아가지 않음. | ||
</ | </ | ||
- | \\ | + | |
- | ====Case 2==== | + | <callout type="info" icon = "fa fa-question-circle-o"> |
- | <callout type="primary" icon="true" title=" | + | ===원인=== |
- | \\ | + | * 서보가 라인드라이브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. ((커미조아 펄스타입 모션컨트롤러는 이송 명령을 라인드라이브 방식으로 출력함)) |
- | * Command position값이 바뀌는데 모터가 구동되지 않음 | + | |
- | | + | * 서보에서 위치 제어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. |
</ | </ | ||
- | <callout type="info" icon="true" title=" | + | <callout type="success" icon = "fa fa-exclamation-circle"> |
- | \\ | + | ===해결법=== |
- | * 일부 Motion Controller는 24V 외부전원 공급이 필요합니다. 이런 | + | * 서보 배선 확인 및 파라미터 확인 |
+ | * 커미조아 펄스 출력 방식 확인 | ||
+ | </ | ||
- | * 펄스출력방식이 모터드라이버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십시오. 모션컨트롤러는 Line-drive출력 방식과 Open-collector출력 방식의 두 가지 출력방식을 제공하며 이는 제품에 있는 스위치(or 점퍼)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설정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매뉴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| ||
- | *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SERVO-ON을 시켰는지 확인하십시오. SERVO-OFF 상태에서는 서보모터는 구동되지 않습니다. | + | ----- |
- | * 서보모터의 Alarm Clear를 사용한다면 Alarm Clear 신호가 Active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. 서보드라이버는 Alarm Clear신호가 Active된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습니다. | + | ====Case 4. 서보 드라이버가 |
- |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증상=== | ||
+ | | ||
+ | * 서보 업체에서 | ||
+ | </ | ||
- | * 각 케이블 및 커넥터가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. | + | <callout type=" |
- | + | ===원인=== | |
- | * 속도설정이나 이동거리가 지나치게 작지 않는지 확인하십시오. 지나치게 저속으로 구동되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| + | * 서보 혹은 모터 불량 |
+ | </ | 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해결법=== | ||
+ | * 서보 업체에 해당 증상 문의 | ||
</ | </ | ||
+ | ---- | ||
+ | |||
+ | ====Case 5. 모터도 움직였으나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했거나 모터가 느리게 움직이는 경우====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증상=== | ||
+ | * Case 1 ~ 4까지 확인해보았음에도 여전히 문제 발생함 | ||
+ | * 혹은 커맨드 펄스는 빠르게 움직이나 실제 모터는 느리게 움직임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원인=== | ||
+ | * 커미조아 속도 설정 혹은 이동거리 명령을 낮게 설정해 구동되지 않는 것처럼 보임 | ||
+ | * 서보 튜닝이 완벽하지 않음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해결법=== | ||
+ | * 속도, 이동거리 확인 | ||
+ | * 서보 튜닝 재실시 | ||
+ | </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