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platform:ethercat:0_intro:feature [2018/11/22 17:20] winoars |
platform:ethercat:0_intro:feature [2024/07/08 18:23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- | ======EtherCAT 특장점====== | + | ======EtherCAT |
<alert type=" | <alert type=" | ||
- | EtherCAT의 특장점에 대한 안내 페이지입니다. | + | EtherCAT의 |
</ | </ | ||
+ | \\ | 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EtherCAT 개요=== | ||
+ | \\ | ||
+ | * 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| ||
+ | * 벡호프 오토메이션에서 개발된 이더넷 기반의 필드버스 시스템 | ||
+ | * 고정밀 동기화, 매우 빠른 정보 업데이트 속도 | ||
+ | </ | ||
- | =====EtherCAT의 특장점===== | + | <callout type=" |
- | + | ===동작원리=== | |
- | <callout type=" | + | |
\\ | \\ | ||
* 각 노드는 프레임이 이동하는 동안 자신에게 전달된 데이터를 읽고, 자신의 데이터를 모두 프레임에 기록 | * 각 노드는 프레임이 이동하는 동안 자신에게 전달된 데이터를 읽고, 자신의 데이터를 모두 프레임에 기록 | ||
* 프레임은 하드웨어 전달 지연 시간(ns)에 의해서만 지연 -> 대역폭(Bandwidth) 이용률을 높임 | * 프레임은 하드웨어 전달 지연 시간(ns)에 의해서만 지연 -> 대역폭(Bandwidth) 이용률을 높임 | ||
+ | * 마스터만 프레임 송신이 가능하고 슬레이브는 프레임을 다음 노드로 이동 시키는 역할만 수행 -> 예상치 못한 지연을 막고 실시간성 유지 | ||
+ | |||
| | ||
+ | {{ : | ||
</ | </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사용의 편리성=== | ||
\\ | \\ | ||
* 노드 어드레스 자동 설정 (네트워크 설정 불필요) | * 노드 어드레스 자동 설정 (네트워크 설정 불필요) | ||
줄 24: | 줄 35: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네트워크 성능=== | ||
\\ | \\ | ||
* 가장 빠른 산업용 이더넷 기술 | * 가장 빠른 산업용 이더넷 기술 | ||
- | |||
- | * Processing On the Fly | ||
* 분산 클락(Distributed Clock)에 기반한 고정밀 동기화 | * 분산 클락(Distributed Clock)에 기반한 고정밀 동기화 | ||
줄 36: | 줄 46: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유연한 토폴로지=== | ||
\\ | \\ | ||
- | * 모든 | + | * 다양한 |
- | + | ||
- | * 캐스캐이드 방식 스위치나 허브의 개수에 대한 수적 제약 없이 버스 또는 어떤 토폴로지 구조의 이더넷에도 사용 가능 | + | |
- | * 65,535개 디바이스 연결 가능 | + | |
- | * 라인, 버스, 트리, 스타 또는 조합 | + | |
* 이더캣에서 이용하는 고속 이더넷 방식의 물리적 연결은 두 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 100m 까지 허용 | * 이더캣에서 이용하는 고속 이더넷 방식의 물리적 연결은 두 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 100m 까지 허용 | ||
줄 49: | 줄 56: | ||
* 링 토폴로지를 통한 이중화 지원 | * 링 토폴로지를 통한 이중화 지원 | ||
- | * 디바이스들에 대한 Hot Connect/ | ||
</ | </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저 비용=== | ||
\\ | \\ | ||
* 스위치나 허브가 필요 없음 | * 스위치나 허브가 필요 없음 | ||
줄 65: | 줄 72: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개방형 기술=== | ||
\\ | \\ | ||
*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개방형 기술 | *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개방형 기술 | ||
줄 75: | 줄 83: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증명된 기술=== | ||
\\ | \\ | ||
*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| *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| ||
줄 84: | 줄 93: | ||
- | <callout type=" | + | <callout type=" |
+ | ===다용도=== | ||
\\ | \\ | ||
줄 90: | 줄 100: | ||
* 마스터-슬레이브, | * 마스터-슬레이브, | ||
- | |||
- | * 하위의 필드버스들도 통합 가능 | ||
</ | </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