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다음 판 | 이전 판 | ||
platform:pulse:info:interface:motioncontrol_signal [2019/01/11 16:08] winoars 만듦 |
platform:pulse:info:interface:motioncontrol_signal [2024/07/08 18:23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5: | 줄 5: | ||
<callout type=" | <callout type=" | ||
- | ===SD (Start of deceleration) | + | ===SD 입력 신호=== |
\\ | \\ | ||
- | * SD(Start of Deceleration) 신호는 외부 신호에 의해 강제로 감속 시키는 신호입니다. | + | * SD (Start of Deceleration) 신호는 외부 신호에 의해 강제로 감속 시키는 신호입니다. |
* 속도 모드가 Constant speed mode일 경우에는 무시되며, | * 속도 모드가 Constant speed mode일 경우에는 무시되며, | ||
줄 49: | 줄 49: | ||
* SD입력 회로 및 신호 연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| * SD입력 회로 및 신호 연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| ||
\\ | \\ | ||
- | {{ : | + | {{ : 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+DR & -DR 입력 신호=== | ||
+ | \\ | ||
+ | * +DR, -DR (External Switch Operation) 신호는 각 축마다 하나씩 제공되는 입력 신호로서, | ||
+ | |||
+ | * cmmExVMoveStart, | ||
+ | |||
+ | * +DR신호는 정방향으로 모션을 구동하고 –DR 신호는 역방향으로 모션을 구동합니다. | ||
+ | |||
+ | * +DR 또는 –DR 신호와 모션 구동의 관계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. | ||
+ | \\ | ||
+ | {{ : | ||
+ | \\ | ||
+ | * +DR신호와 -DR 신호의 입력 회로 및 신호 연결은 다음과 같습니다. | ||
+ | |||
+ | {{ :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PA/PB 입력 신호=== | ||
+ | \\ | ||
+ | * PA, PB (Manual Pulsar) 입력 신호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펄스 신호에 의해 모션이 제어되도록 하는 신호입니다. | ||
+ | |||
+ | * ㈜커미조아 모션컨트롤러는 엔코더와 같은 펄스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수동으로 모션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| ||
+ | |||
+ | * External switch operation(+DR, | ||
+ | |||
+ | * 수동 조작기능으로 사용하거나, | ||
+ | |||
+ | * MASTER/ | ||
+ | |||
+ | * 기능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소프트웨어 모션 라이브러리 매뉴얼의 [10.1 Manual Pulsar (PA/PB) 모드 모션제어] 단원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| ||
+ | |||
+ | * PA, PB 신호의 회로는 다음과 같으며 TTL 레벨신호 연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| ||
+ | * TTL 레벨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| ||
+ | * GND는 PC Ground입니다. | ||
+ | \\ | ||
+ | {{ : | ||
+ | \\ | ||
+ | * 라인드라이브 방식의 신호를 연결할 경우의 신호 연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| ||
+ | * GND는 PC Ground입니다. | ||
+ | * 라인드라이브 출력의 (-) 신호는 연결하지 않습니다. | ||
+ | \\ | ||
+ | {{ : | ||
+ | \\ | ||
+ | * OpenCollector 방식의 신호를 연결할 경우의 신호 연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| ||
+ | * GND는 PC Ground입니다. | ||
+ | \\ | ||
+ | {{ : | ||
+ | \\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LTC 입력신호=== | ||
+ | \\ | ||
+ | * LTC (Latch) 신호는 특정 시점의 모션컨트롤러의 각 카운터의 값을 래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입니다. | ||
+ | |||
+ | * LTC 신호의 유형은 소프트웨어로 Falling Edge 또는 Rising Edg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 ||
+ | |||
+ | * LTC 신호의 입력 회로 및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| ||
+ | \\ | ||
+ | {{ : | ||
+ | \\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<callout type=" | ||
+ | ===CLR 입력신호=== | ||
+ | \\ | ||
+ | * CLR (Couter Clear) 신호는 각 축마다 제공되는 입력 신호로서 각 축의 카운터를 클리어해주는 신호입니다. | ||
+ | |||
+ | * ㈜커미조아 모션컨트롤러는Command Position Counter, Actual Position Counter, Deviation Counter 그리고 General Counter의 총 4개 카운터를 제공합니다. | ||
+ | |||
+ | * 각 카운터가 CLR신호에 의해 클리어 되도록 소프트웨어로 선택할 수 있으며, CLR신호의 입력 타입도 소프트웨어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| ||
+ | |||
+ | * CLR 신호의 입력 회로 및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| ||
+ | \\ | ||
+ | {{ : | ||
+ | \\ | ||
</ | </ |